|
江原道(강원도)
- 7개 市 11개 郡 [ 강(강)/근원(원)/길(도)
]
|
|
|
|
♣
공통표기- 特別市[廣域市], 區, 洞, 街(가), 番地(번지),
號(호), 統(통), 班(반) [아파트-
棟(동) 號(호)] ♣
공통표기-
道(도), 郡(군), 邑(읍),
面(면), 里(리), 番地(번지),
號(호)
|
|
|
1.
江陵市
- 강(강)
/ 언덕(릉) / 도시(시)
|
▒ 洞(동)마을 /
邑(읍)고을 / 面(면)얼굴
|
|
|
|
江門洞 |
강(강)/문(문)
|
見召洞 |
볼(견)/부를(소)
|
校洞 |
학교(교)
|
錦鶴洞 |
비단(금)/학(학)
|
蘭谷洞 |
난초(난)/골(곡)
|
南門洞 |
남녘(남)/문(문)
|
南項津洞 |
남녘(남)/목(항)/나루(진)
|
內谷洞 |
안(내)/골(곡)
|
魯岩洞 |
노라라(로)/바위(암)
|
淡山洞 |
맑을(담)/산(산)
|
大田洞 |
큰(대)/밭(전)
|
斗山洞 |
말(두)/산(산)
|
溟州洞 |
바다(명)/고을(주)
|
博月洞 |
넓을(박)/달(월)
|
柄山洞 |
자루(병)/산(산)
|
城南洞 |
성(성)/남녘(남)
|
城內洞 |
성(성)/안(내)
|
松亭洞 |
소나무(송)/정자(정)
|
申石洞 |
아홉째지지,펼(신)/돌(석)
|
雁峴洞 |
기러기(안)/고개(현)
|
玉泉洞 |
구슬(옥)/내(천)
|
龍岡洞 |
용(룡)/언덕(강)
|
雲山洞 |
구름(운)/산(산)
|
雲亭洞 |
구름(운)/정자(정)
|
月呼坪洞 |
달(월)/부를(호)/평평할(평)
|
幼山洞 |
어릴(유)/산(산)
|
楡川洞 |
느릅나무(유)/내(천)
|
林唐洞 |
수풀(임)/당나라(당)
|
笠岩洞 |
삿갓(립)/바위(암)
|
長峴洞 |
길(장)/고개(현)
|
苧洞 |
모시(저)
|
竹軒洞 |
대(죽)/처마(헌)
|
池邊洞 |
연못(지)/가(변)
|
靑良洞 |
푸를(청)/어질(량)
|
草堂洞 |
풀(초)/집(당)
|
浦南洞 |
물가(포)/남녘(남)
|
鶴洞 |
학(학)
|
弘濟洞 |
넓을(홍)/가지런할(제)
|
淮山洞 |
강이름(회)/산(산)
|
注文津邑 |
물댈(주)/글월(문)/나루(진)
|
江東面 |
강(강)/동녘(동)
|
邱井面 |
언덕(구)/우물(정)
|
沙川面 |
모래(사)/내(천)
|
城山面 |
성(성)/산(산)
|
連谷面 |
이을(연)/골(곡)
|
玉溪面 |
구슬(옥)/시내(계)
|
旺山面 |
왕성할(왕)/산(산)
|
|
|
|
|
|
2.
東海市
- 동녘(동)
/ 바다(해) / 도시(시)
|
|
|
|
槐蘭洞 |
홰나무(괴)/난초(란)
|
九美洞 |
아홉(구)/아름다울(미)
|
九湖洞 |
아홉(구)/호수(호)
|
歸雲洞 |
돌아올(귀)/구름(운)
|
羅雁洞 |
비단(나)/기러기(안)
|
內洞 |
안(내)
|
丹鳳洞 |
붉을(단)/봉새(봉)
|
達芳洞 |
통달할(달)/꽃다울(방)
|
大口洞 |
큰(대)/입(구)
|
大津洞 |
큰(대)/나루(진)
|
東湖洞 |
동녘(동)/호수(호)
|
桐淮洞 |
오동나무(동)/강이름(회)
|
晩遇洞 |
늦을(만)/만날(우)
|
望祥洞 |
바랄(망)/상서로울(상)
|
墨湖洞 |
먹(묵)/호수(호)
|
發翰洞 |
필(발)/날개(한)
|
釜谷洞 |
솥(부)/골(곡)
|
北三洞 |
북녘(북)/석(삼)
|
北坪洞 |
북녘(북)/평평할(평)
|
飛川洞 |
날(비)/내(천)
|
三和洞 |
석(삼)/화합할(화)
|
松亭洞 |
소나무(송)/정자(정)
|
灑雲洞 |
뿌릴(쇄)/구름(운)
|
新興洞 |
새(신)/흥할(흥)
|
深谷洞 |
깊을(심)/골(곡)
|
於達洞 |
어조사(어)/통달할(달)
|
龍井洞 |
용(룡)/우물(정)
|
耳基洞 |
귀(이)/터(기)
|
梨島洞 |
배(리)/섬(도)
|
泥老洞 |
진흙(니)/늙을(로)
|
池柯洞 |
연못(지)/가지(가)
|
智興洞 |
지혜(지)/흥할(흥)
|
泉谷洞 |
샘(천)/골(곡)
|
草邱洞 |
풀(초)/언덕(구)
|
湫岩洞 |
다할(추)/바위(암)
|
平陵洞 |
평평할(평)/언덕(릉)
|
虎峴洞 |
호랑이(호)/고개(현)
|
孝街洞 |
효도(효)/거리(가)
|
|
|
|
|
|
3.
三陟市
- 석(삼)
/오를(척) / 도시(시)
|
|
|
|
葛川洞 |
칡(갈)/내(천)
|
乾芝洞 |
마를(건)/지초(지)
|
校洞 |
학교(교)
|
近山洞 |
가가울(근)/산(산)
|
南陽洞 |
남녘(남)/볕(양)
|
塘底洞 |
못(당)/밑(저)
|
桃京洞 |
복숭아(도)/서울(경)
|
登鳳洞 |
오를(등)/봉새(봉)
|
麻達洞 |
삼(마)/통달할(달)
|
馬坪洞 |
말(마)/평평할(평)
|
史直洞 |
사관(사)/곧을(직)
|
城南洞 |
성(성)/남녘(남)
|
城內洞 |
성(성)/안(내)
|
城北洞 |
성(성)/북녘(북)
|
梧紛洞 |
오동나무(오)/어지러울(분)
|
五士洞 |
다섯(오)/선비(사)
|
禹池洞 |
우임금(우)/못(지)
|
元堂洞 |
으뜸(원)/집(당)
|
邑上洞 |
고을(읍)/윗(상)
|
邑中洞 |
고을(읍)/가운데(중)
|
紫元洞 |
자주빛(자)/으듬(원)
|
積老洞 |
쌓을(적)/늙을(로)
|
汀上洞 |
물가(정)/윗(상)
|
汀下洞 |
물가(정)/아래(하)
|
鳥飛洞 |
새(조)/날(비)
|
甑山洞 |
시루(증)/산(산)
|
平田洞 |
평평할(평)/밭(전)
|
道溪邑 |
길(도)/시내(계)
|
遠德邑 |
멀(원)/덕(덕)
|
佳谷面 |
아름다울(가)/골(곡)
|
近德面 |
가까울(근)/덕(덕)
|
蘆谷面 |
갈대(로)/골(곡)
|
未老面 |
아닐(미)/늙을(로)
|
新基面 |
새(신)/터(기)
|
下長面 |
아래(하)/길(장)
|
|
|
|
|
|
4.
束草市
- 묶을(속)
/ 풀(초) / 도시(시)
|
|
|
|
校洞 |
학교(교)
|
琴湖洞 |
거문고(금)/호수(호)
|
蘆鶴洞 |
갈대(로)/학(학)
|
大浦洞 |
큰(대)/물가(포)
|
道門洞 |
길(도)/문(문)
|
東明洞 |
동녘(동)/밝을(명)
|
雪岳洞 |
눈(설)/큰산(악)
|
永郞洞 |
길(영)/사내(랑)
|
章沙洞 |
문서(장)/모래(사)
|
朝陽洞 |
아침(조)/볕(양)
|
中央洞 |
가운데(중)/가운데(앙)
|
靑鶴洞 |
푸를(청)/학(학)
|
靑湖洞 |
푸를(청)/호수(호)
|
|
|
|
|
|
|
|
5.
原州市
- 근원(원)
/ 마을(주) / 도시(시)
|
|
|
|
加峴洞 |
더할(가)/고개(현)
|
開雲洞 |
열(개)/구름(운)
|
觀雪洞 |
볼(관)/눈(설)
|
丹溪洞 |
붉을(단)/시내(계)
|
丹邱洞 |
붉을(단)/언덕(구)
|
明倫洞 |
밝을(명)/인륜(륜)
|
茂實洞 |
무성할(무)/열매(실)
|
盤谷洞 |
쟁반(반)/골(곡)
|
鳳山洞 |
봉새(봉)/산(산)
|
牛山洞 |
소(우)/산(산)
|
園洞 |
동산(원)
|
仁洞 |
어질(인)
|
一山洞 |
한(일)/산(산)
|
中央洞 |
가운데(중)/가운데(앙)
|
台壯洞 |
별(태)/장할(장)
|
平原洞 |
평평할(평)/언덕(원)
|
鶴城洞 |
학(학)/성(성)
|
杏邱洞 |
살구나무(행)/언덕(구)
|
文幕邑 |
글월(문)/장막(막)
|
貴來面 |
귀할(귀)/올(래)
|
富論面 |
부유할(부)/논의할(론)
|
所草面 |
바(소)/풀(초)
|
神林洞 |
신(신)/수풀(림)
|
地正洞 |
땅(지)/바를(정)
|
板富面 |
널(판)/부유할(부)
|
好楮面 |
좋아할(호)/닥나무(저)
|
興業面 |
흥할(흥)/일(업)
|
|
|
|
6.
春川市
- (춘)
/ (천) / 도시(시)
|
|
|
|
校洞 |
학교(교)
|
槿花洞 |
무궁화(근)/꽃(화)
|
樂園洞 |
즐거울(락)/동산(원)
|
鳳儀洞 |
봉새(봉)/의례(의)
|
司農洞 |
맡을(사)/농사(농)
|
三川洞 |
석(삼)/내(천)
|
碩士洞 |
클(석)/선비(사)
|
昭陽路*街 |
밝을(소)/볕(양)/길(로)/거리(가)
|
松岩洞 |
소나무(송)/바위(암)
|
神洞 |
신(신)
|
藥司洞 |
약(약)/맡을(사)
|
玉泉洞 |
구슬(옥)/샘(천)
|
溫衣洞 |
따뜻할(온)/옷(의)
|
要仙洞 |
중요할(요)/신선(선)
|
牛頭洞 |
소(우)/머리(두)
|
雲校洞 |
구름(운)/학교(교)
|
朝陽洞 |
아침(조)/볕(양)
|
竹林洞 |
대(죽)/수풀(림)
|
中島洞 |
가운데(중)/섬(도)
|
中央路*街 |
가운데(중)/가운데(앙)/길(로)/거리(가)
|
漆田洞 |
옻(칠)/밭(전)
|
退溪洞 |
물러날(퇴)/시내(계)
|
孝子洞 |
효도(효)/아들(자)
|
後坪洞 |
뒤(후)/평평할(평)
|
新北邑 |
새(신)/북녘(북)
|
南面 |
남녘(남)
|
南山面 |
남녘(남)/산(산)
|
東面 |
동녘(동)
|
東內面 |
동녘(동)/안(내)
|
東山面 |
동녘(동)/산(산)
|
北山面 |
북녘(북)/산(산)
|
史北面 |
사관(사)/북녘(북)
|
西面 |
서녘(서)
|
新東面 |
새(신)/동녘(동)
|
|
|
|
|
|
|
|
7.
太白市
- 클 (태)
/ 흰(백) / 도시(시)
|
|
|
|
黔川洞 |
검은빛(금)/내(천)
|
銅店洞 |
구리(동)/가게(점)
|
文曲洞 |
글월(문)/골(곡)
|
栢山洞 |
측백나무(백)/산(산)
|
上士美洞 |
윗(상)/선비(사)/아름다울(미)
|
上長洞 |
윗(상)/길(장)
|
所道洞 |
바(소)/길(도)
|
院洞 |
집(원)
|
長省洞 |
길(장)/살필(성)
|
赤角洞 |
붉을(적)/뿔(각)
|
助呑洞 |
도울(조)/삼킬(탄)
|
蒼竹洞 |
푸를(창)/대(죽)
|
鐵岩洞 |
쇠(철)/바위(암)
|
桶洞 |
통(통)
|
下士美洞 |
아래(하)/선비(사)/아름다울(미)
|
禾田洞 |
벼(화)/밭(전)
|
黃池洞 |
누를(황)/못(지)
|
穴洞 |
구멍(혈)
|
|
|
|
8.
高城郡
- 높을(고)
/ 성(성) / 고을(군)
|
▒ 邑(읍)고을 / 面(면)얼굴
|
|
|
|
杆城邑 |
나무이름(간)/성(성)
|
巨津邑 |
클(거)/나루(진)
|
竹王面 |
대(죽)/임금(왕)
|
土城面 |
흙(토)/성(성)
|
縣內面 |
고을(현)/안(내)
|
|
|
|
|
|
9.
楊口郡
- 버들(양)
/입(구) / 고을(군)
|
|
|
|
楊口邑 |
버들(양)/입(구)
|
南面 |
남녘(남)
|
東面 |
동녘(동)
|
方山面 |
모(방)/산(산)
|
亥安面 |
열두째지지(해)/편안할(안)
|
|
|
|
|
|
10.
襄陽郡
- 도울(양)
/ 볕(양) / 고을(군)
|
|
|
|
襄陽邑 |
도울(양)/볕(양)
|
降峴面 |
내릴(강)/고개(현)
|
西面 |
서녘(서)
|
巽陽面 |
손괘(손)/볕(양)
|
縣南面 |
고을(현)/남녘(남)
|
縣北面 |
고을(현)/북녘(북)
|
|
|
|
11.
寧越郡
- 편안할(녕)
/ 넘을(월) / 고을(군)
|
|
|
|
上東邑 |
윗(상)/동녘(동)
|
寧越邑 |
편안할(녕)/넘을(월)
|
南面 |
남녘(남)
|
北面 |
북녘(북)
|
西面 |
서녘(서)
|
水周面 |
물(수)/두루(주)
|
酒泉面 |
술(주)/샘(천)
|
中東面 |
가운데(중)/동녘(동)
|
下東面 |
아래(하)/동녘(동)
|
|
|
|
12.
麟蹄郡
- 기린(린)
/ 굽(제) / 고을(군)
|
|
|
|
麟蹄邑 |
기린(린)/굽(제)
|
麒麟面 |
기린(기)/기린(린)
|
南面 |
남녘(남)
|
北面 |
북녘(북)
|
上南面 |
윗(상)/남녘(남)
|
瑞和面 |
상서로울(서)/화합할(화)
|
|
|
|
13.
旌善郡
- 기(정)
/ 착할(선) / 고을(군)
|
|
|
|
古汗邑 |
옛(고)/땀(한)
|
舍北邑 |
집(사)/북녘(북)
|
新東邑 |
새(신)/동녘(동)
|
旌善邑 |
기(정)/착할(선)
|
南面 |
남녘(남)
|
東面 |
동녘(동)
|
北面 |
북녘(북)
|
北坪面 |
북녘(북)/평평할(평)
|
臨溪面 |
임할(림)/시내(계)
|
|
|
|
14.
鐵原郡
- 쇠(철)
/ 근원(원) / 고을(군)
|
|
|
|
葛末邑 |
칡(갈)/띁(말)
|
金化邑 |
쇠(김)/화할(화)
|
東松邑 |
동녘(동)/소나무(송)
|
鐵原邑 |
쇠(철)/근원(원)
|
近南面 |
가까울(근)/남녘(남)
|
近北面 |
가까울(근)/북녘(북)
|
西面 |
서녘(서)
|
|
|
|
|
|
|
|
15.
平昌郡
- 평평할(평)
/ 창성할(창) / 고을(군)
|
|
|
|
平昌邑 |
평평할(평)/창성할(창)
|
大和面 |
큰(대)/화합할(화)
|
道岩面 |
길(도)/바위(암)
|
美灘面 |
아름다울(미)/여울(탄)
|
芳林面 |
꽃다울(방)/수풀(림)
|
蓬坪面 |
쑥(봉)/평평할(평)
|
龍坪面 |
용(룡)/평평할(평)
|
珍富面 |
보배(진)/부유할(부)
|
|
|
|
|
|
16.
洪川郡
- 큰물(홍)
/ 내(천) / 고을(군)
|
|
|
|
洪川邑 |
큰물(홍)/내(천)
|
南面 |
남녘(남)
|
內面 |
안(내)
|
乃村面 |
이에(내)/마을(촌)
|
東面 |
동녘(동)
|
斗村面 |
말(두)/마을(촌)
|
北方面 |
북녘(북)/방위(방)
|
西面 |
서녘(서)
|
瑞石面 |
상서로울(서)/돌(석)
|
化村面 |
될(화)/마을(촌)
|
|
|
|
|
|
|
|
17.
華川郡
- 화려할(화)
/ 내(천) / 고을(군)
|
|
|
|
華川邑 |
화려할(화)/내(천)
|
看東面 |
볼(간)/동녘(동)
|
史內面 |
사관(사)/안(내)
|
上西面 |
윗(상)/서녘(서)
|
下南面 |
아래(하)/남녘(남)
|
|
|
|
|
|
18.
橫城郡
- 가로(횡)
/ 성(성) / 고을(군)
|
|
|
|
橫城邑 |
가로(횡)/성(성)
|
甲川面 |
갑옷(갑)/내(천)
|
講林面 |
강론할(강)/수풀(림)
|
公根面 |
공변될(공)/뿌리(근)
|
屯內面 |
진칠(둔)/안(내)
|
書院面 |
책(서)/집(원)
|
安興面 |
편안할(안)/흥할(흥)
|
隅川面 |
모퉁이(우)/내(천)
|
晴日面 |
갤(청)/날(일)
|
|
|
|
강원도
18개 자치구 각 주소
한자표기 완료
|
|
|
|
|
|
|
|
|
▲
to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