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形聲字,會意字,象形字} 위 부분{宀}은 '집'을 의미하고, 아래 '八(팔)'은 '나누다'는 의미를 나타내는데, ‘八’이 발음 역할로 볼 때는 형성자로 설명하고, 의미로 활용되어 움{구멍}을 파서 그 속에서 살아가는 '혈거(穴居)'의 집을 뜻할 때는 회의자로 설명하기도 함. 혹은 전체를 하나의 ‘굴’ 모양으로 본떠서 상형자로 설명하기도 함. 일반적으로 '구멍'이나 '굴'의 의미로 사용됨.
▶ 부수의 활용은 '구멍'과 관련된 상태나 모양, '뚫는 일' 등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심오하다'나 '엿보다' 등의 의미로까지 활용됨. ▶[주의 구별부수] ‘宀(면: 집)’은 제부수 * ‘容(용: 얼굴)’은 ‘宀(면)’부수 |
-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중 7자 0) 穴 (혈) 구멍, 굴 : 穴居(혈거), 三姓穴(삼성혈), 偕老同穴(해로동혈) 2) 究 (구) 궁구하다, 다하다 : 硏究(연구), 究明(구명), 窮究(궁구), 探究(탐구) 3) 空 (공) 비다, 하늘, 헛되다 : 空中樓閣(공중누긱), 蒼空(창공)
空手來空手去(공수래공수거) 4) 突 (돌) 부딪치다, 우뚝하다, 갑자기 : 突起(돌기), 衝突(충돌),
突出(돌출), 突然(돌연) 6) 窓 (창) 창 : 窓口(창구), 窓戶紙(창호지), 同窓(동창),
學窓時節(학창시절) 10) 窮 (궁) 다하다,마치다,궁구하다 : 窮餘之策(궁여지책), 窮理(궁리),
貧窮(빈궁) ▲17) 竊 (절) 훔치다 : 竊盜(절도), 剽竊(표절), 强竊盜(강절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