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象形字} 바깥쪽 '厂(한)'은 ‘언덕’의 모양이고, 안쪽 '口'는 ‘돌’의 모양을 본떠, 산의 언덕 아래에 있는 '돌'이라는 의미에서 '돌'을 나타냄.
▶ 부수의 활용은 '돌'의 종류나 상태, '돌로 만든 물건', '광물' 등의 의미로 활용됨. ▶[주의 구별부수] * ‘右(우: 오른)’는 ‘口(구)’부수 / * ‘岩(암: 바위)’은 ‘山(산)’부수 / * ‘拓(척: 넓히다)’은 ‘手(수)’부수
|
-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중 9자 0) 石 (석) 돌,섬: 金石文(금석문),電光石火(전광석화),試金石(시금석), 萬石(만석) 4) 硏 (연) 갈다, 연구하다, 벼루 : 硏究(연구), 硏磨(연마), 硏修(연수) 5) 破 (파) 깨뜨리다, 가르다 : 擊破(격파), 破竹之勢(파죽지세),
破顔大笑(파안대소), 走破(주파) 7) 硬 (경) 단단하다, 강하다 : 硬化(경화), 强硬(강경), 硬直(경직),
硬度(경도) 8) 碑 (비) 비석: 墓碑(묘비), 記念碑(기념비), 廣開土王碑(광개토왕비) 9) 碧 (벽) 푸르다,옥: 桑田碧海(상전벽해),碧眼(벽안),碧昌牛(벽창우) 10) 確 (확) 확실하다, 단단하다 : 確實(확실), 確固不動(확고부동),
確然(확연) 11) 磨 (마) 갈다, 닿다, 맷돌 : 硏磨(연마), 摩擦(마찰), 磨滅(마멸),
切磋琢磨(절차탁마) 13) 礎 (초) 주춧돌 : 礎石(초석), 基礎(기초), 柱礎(주초), 定礎(정초)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7) 硯 (연) 벼루 : 硯滴(연적), 筆硯(필연), 紙筆硯墨(지필연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