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象形字}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본래 가로로 표현하다가 한자의 편방에 결합되어 사용되어 후대에 와서 세로로 쓰이게 됨.
▶ 부수의 활용은 '눈'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보는 것' 등의 의미로 활용됨. ▷ '見(견)'은 '보는 행위' 자체를 의미하는 별도의 부수자임. ▶ '目'이 간혹 가로로 사용되는 경우{기초 한자에는 없음}가 있는데, 이 때 그물망 부수와 모양이 같게 보여 구별해야 함. {예) '눈목'부수 - 睾(고)불알,넓다 / '그물망'부수 - 罪(죄)죄, 置(치)두다, 羅(라)비단 } ▶[주의 구별부수] ‘自(자: 스스로)’는 제부수 / ‘見(견: 보다)’은 제부수 / ‘貝(패)’는 제부수 / ‘鼎(정: 솥)’은 제부수 / ‘日(일: 날)’은 제부수 * ‘助(조: 돕다)’는 ‘力(력)’부수 / * ‘具(구: 갖추다)’는 ‘八(팔)’부수 / * ‘臭(취: 냄새)’는 ‘自(자)’부수 / * ‘買(매: 사다)’는 ‘貝(패)’부수 / * ‘冒(모: 무릅쓰다)’는 ‘冂(경)’부수 / * ‘蜀(촉: 땅이름)’은 ‘虫(충)’부수 |
-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중 14자 0) 目(목) 눈,조목: 目不識丁(목불식정),目不忍見(목불인견),目標(목표) 3) 直 (직) 곧다, 바르다 : 直言(직언), 不問曲直(불문곡직), 直感(직감), 宿直(숙직) 3) 盲 (맹) 장님, 무지하다 : 盲人(맹인), 盲從(맹종), 文盲(문맹),
群盲撫象(군맹무상) 4) 相 (상) 서로,보다,돕다,모습,정승 : 相扶相助(상부상조), 觀相(관상), 首相(수상) 4) 省 (성) 살피다, 보다 : 省察(성찰), 省墓(성묘) / (생) 덜다, 생략하다 : 省略(생략) 4) 眉 (미) 눈썹 : 白眉(백미), 兩眉間(양미간), 焦眉之急(초미지급) 4) 看 (간) 보다,지키다 : 走馬看山(주마간산), 看做(간주), 看過(간과),
看護(간호) 5) 眠 (면) 자다,쉬다: 冬眠(동면), 安眠(안면), 睡眠(수면), 休眠(휴면),
熟眠(숙면) 5) 眞 (진) 참, 진실로, 사진 : 眞價(진가), 寫眞(사진), 眞相(진상), 眞善美(진선미) 6) 眼 (안) 눈, 고동 : 眼下無人(안하무인), 千里眼(천리안), 眼鏡(안경),
肉眼(육안) 8) 睡 (수) 졸다, 자다 : 睡眠(수면), 午睡(오수), 昏睡狀態(혼수상태) 8) 睦 (목) 화목하다 : 親睦(친목), 和睦(화목), 上和下睦(상화하목) 8) 督 (독) 감독하다, 거느리다, 재촉하다 : 督勵(독려), 監督(감독),
基督敎(기독교) 12) 瞬 (순) 눈깜짝이다 : 瞬息間(순식간), 瞬間(순간), 瞬發力(순발력)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4) 盾 (순) 방패 : 矛盾(모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