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象形字} 물건을 담는 속이 빈 그릇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위는 음식을 담는 부분이고, 가운데는 그릇의 몸, 아래는 그릇의 바닥을 나타내, '그릇'이나 '쟁반' 등의 의미로 쓰임.
▷ ‘豆(두)’ 역시 ‘그릇’의 의미인데, 덮개가 있는 그릇 모양이고, 주로 고기를 넣는 그릇의 용도에서 후에 ‘제기(祭器)’ 의미까지 확대됨. ▶ 부수의 활용도 역시 '그릇'이나 '그릇에 담는 것' 등의 의미로 활용되고, 부수의 위치는 항상 글자의 발{아래 부분}에 위치함. ▶ '血(혈)'은 그릇에 담긴 제사에 쓰는 희생물의 피를 의미하는 '혈액'의 뜻으로 사용되는 별도의 부수자임. ▶[주의 구별부수] ‘血(혈: 피)’은 제부수 / ‘罒(망: 그물)’은 제부수 * ‘孟(맹: 맏)’은 ‘子(자)’부수 / * ‘蓋(개: 덮다)’는 ‘艸(초)’부수 / * ‘藍(람: 쪽)’은 ‘艸(초)’부수 / * ‘濫(람: 넘치다)’은 ‘水(수)’부수 / * ‘鹽(염: 소금)’은 ‘鹵(로)’부수 |
-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중 7자 5) 益 (익) 더하다,
이롭다, 이익 : 損益(손익), 多多益善(다다익선), 老益壯(노익장) 7) 盛 (성) 성하다, 많다 : 興亡盛衰(흥망성쇠), 盛況(성황), 旺盛(왕성), 豊盛(풍성) 7) 盜 (도) 도둑, 훔치다 : 强盜(강도), 竊盜(절도), 盜聽(도청), 鷄鳴狗盜(계명구도) 8) 盟 (맹) 맹세하다 : 盟約(맹약), 盟邦(맹방), 同盟(동맹), 結盟(결맹) 9) 盡 (진) 다하다 :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盡心(진심),
苦盡甘來(고진감래) 9) 監 (감) 보다, 감옥, 거울삼다 : 監査(감사), 監督(감독), 監獄(감옥), 龜鑑(귀감) 10) 盤 (반) 쟁반, 바탕 : 盤石(반석), 旋盤(선반), 杯盤狼藉(배반낭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