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象形字} 꼬리를 위로 감아 올린 '개'의 모습으로 설명하거나 개가 옆으로 보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인데, 후대로 오면서 많은 변형이 일어나 현재의 자형은 본래 개와 많이 달라짐. ▷ '犬'은 짐승의 대표격으로 사용되어 짐승 관련 부수로 사용되자, 개 자체는 '狗(구)'를 사용하기도 함. 또 고대에는 큰 개는 '犬(견)', 작은 개는 '狗(구)'로 구분하기도 했음.
▶ 부수의 활용은 '개'나 '개와 유사한 짐승류' 등의 명칭, 짐승들과 관련된 행위나 상태, 수렵 등의 의미로 활용됨. ▷ 부수의 위치가 변으로 사용될 때는 변형[犭]이 되는데, 이를 '개사슴록변'이라 불리는 것은 부적절한 표현임.
▶[주의 구별부수] '大(대: 크다)'와 '扌(수: 손수변)'는 자체부수임. '太(태: 크다)'는 '大(대)'부수
|
-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중 13자 0) 犬 (견) 개 : 猛犬(맹견), 犬馬之勞(견마지로), 犬猿之間(견우지간) 2) 犯 (범) 범하다,범인 : 犯法(범법), 犯罪(범죄), 防犯(방범) ▲3) 狂 (광) 미치다 : 狂犬(광견), 狂亂(광란), 狂風(광풍) 4) 狀 (장) 문서 : 賞狀(상장), 狀啓(장계), 令狀(영장) / (상) 형상 : 狀況(상황), 狀態(상태) 5) 狗 (구) 개 : 黃狗(황구), 喪家之狗(상가지구), 鷄鳴狗盜(계명구도) 8) 猛 (맹) 사납다 : 猛烈(맹렬), 猛獸(맹수),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9) 猶 (유) 오히려,같다 : 猶不足(과부족), 過猶不及(과유불급) 10) 獄 (옥) 옥,송사: 獄死(옥사), 監獄(감옥), 地獄(지옥) 13) 獨 (독) 홀로,외롭다 : 獨立(독립), 獨斷(독단), 惟我獨尊(유아독존) 14) 獲 (획) 얻다 : 獲得(획득), 捕獲(포획), 漁獲(어획), 獲麟(획린) ▲14) 獵 (렵) 사냥 : 狩獵(수렵), 獵銃(엽총), 獵奇(엽기), 密獵(밀렵) 15) 獸 (수) 짐승 : 人面獸心(인면수심), 猛獸(맹수), 獸醫(수의) 16) 獻 (헌) 드리다 : 獻身(헌신), 獻納(헌납), 獻血(헌혈), 獻上(헌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