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象形字} 나무를 반으로 쪼갰을 때의 왼쪽 '조각' 모양을 본뜬 글자로, '침상'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牀(상)'의 본래자임. 단독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指事字} 木을 반으로 쪼개고 획을 줄여서 ‘쪼갠 조각’이라는 의미를 생성했기 때문에 변체지사자로 설명하기도 함.['片(편)'도 동일함]
▶ 부수의 활용도 '나무 조각'으로 활용되지만, 나무의 반대 조각인 '片(편)' 부수가 더 많이 활용됨으로 인해 소속 글자가 별로 없음. ▷ 주로 발음부호[音符]로 다수 사용되어 형성자를 만드는 역할을 함. [예) '壯(장)', '狀(장)', '將(장)' 등] ▷ 부수 명칭으로 '장수장변'이라 불리는 것은 다소 부적절한 표현임.
▶[주의 구별부수] '片(편: 조각)'은 별도부수임. '壯(장: 씩씩하다)'은 '士(사)'부수 / '狀(상: 형상)'은 '犬(견)'부수 / '將(장: 장수)'은 '寸(촌)'부수 / '獎(장: 권면하다)'은 '犬(견)'부수 / '藏(장: 감추다)'은 '艸(초)'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