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象形字} 불이 세차게 타오르는 불길과 불꽃의 모습을 본뜬 글자로, 불이나 불사르다와 화약, 다급하다 등으로 쓰임.
▶ 부수의 활용도 역시 불과 관련하여 '불의 성질이나 상태, 불의 작용이나 불과 관계된 사물' 등 다양한 의미로 활용됨. ▷ 부수의 위치가 발{아래쪽}에 사용되면 변형[灬]이 되고 '불화발' 또는 연화발이라 불림. ▷ 烏(오: 까마귀), 焉(언: 어찌), 無(무: 없다), 燕(연: 제비), 熊(웅: 곰) 등은 火 부수에 속해 있지만, 실제 자원은 불과 상관이 없는 자형으로 인한 분류 설정임.
▶[주의 구별부수] 魚(어: 물고기)와 馬(마: 말)와 鳥(조: 새)와 黑(흑: 검다)은 자체부수임. 爲(위: 하다)는 爪(조)부수 / 榮(영: 영화롭다)은 木(목)부수 / 螢(형: 반딧불이)은 虫(충)부수 / 滅(멸: 멸하다)은 水(수)부수
|
-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중 23자 0) 火 (화) 불,급하다 : 火災(화재), 火刑(화형), 明若觀火(명약관화) 3) 災 (재) 재앙 : 災難(재난), 災殃(재앙), 災害(재해), 人災(인재) 4) 炎 (염) 타다,불꽃 : 暴炎(폭염), 炎症(염증), 狂炎(광염) 5) 炭 (탄) 숯,석탄 : 炭鑛(탄광), 木炭(목탄), 煉炭(연탄) 6) 烈 (렬) 세차다,굳세다 : 先烈(선열), 烈士(열사), 激烈(격렬) 6) 烏 (오) 까마귀 : 烏飛梨落(오비이락), 烏鵲橋(오작교) 7) 焉 (언) 어찌,어조사 : 焉敢生心(언감생심), 於焉間(어언간) 8) 無 (무) 없다 : 無爲自然(무위자연), 無慾(무욕), 虛無(허무) 8) 然 (연) 그렇다,사르다 : 果然(과연), 自然(자연), 浩然(호연) 9) 煙 (연) 연기,담배 : 喫煙(끽연), 煙草(연초), 無煙炭(무연탄) 9) 煩 (번) 번거롭다 : 煩悶(번민), 煩惱(번뇌), 煩雜(번잡) 9) 照 (조) 비추다,빛 : 照明(조명), 落照(낙조), 參照(참조) 11) 熟 (숙) 익다,무르다 : 深思熟考(심사숙고), 熟達(숙달) 11) 熱 (열) 열, 더위 : 以熱治熱(이열치열), 熱烈(열렬) 12) 燃 (연) 타다 : 燃燒(연소), 燃料(연료), 內燃(내연) 12) 燈 (등) 등잔: 風前燈火(풍전등화), 燈火可親(등화가친) 12) 燒 (소) 불사르다 : 燃燒(연소), 燒酎(소주), 燒失(소실) 12) 燕 (연) 제비 : 燕尾服(연미복), 燕雀(연작), 燕息(연식) 13) 營 (영) 경영하다 : 兵營(병영), 經營(경영), 營業(영업) 13) 燥 (조) 마르다 : 乾燥(건조), 燥渴(조갈), 焦燥(초조) 13) 燭 (촉) 촛불,등불 : 華燭(화촉), 燭光(촉광), 燭淚(촉루) 15) 爆 (폭) 터지다 : 爆發(폭발), 爆死(폭사), 爆彈(폭탄) 16) 爐 (로) 화로 : 鎔鑛爐(용광로), 紅爐點雪(홍로점설)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3자) ▽2) 灰 (회) 재 : 灰壁(회벽), 石灰(석회), 灰色(회색) ▽9) 熙 (희) 빛나다,넓다 : 光熙(광희), 熙朝(희조), 熙笑(희소) ▽17) 爛 (란) 빛나다,문드러지다 : 燦爛(찬란), 爛漫(난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