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 위의 숫자는 <
부수
획수 - 순번,[전체 부수 순번] >입니다.
각 기초한자 앞의 숫자 '1)'는 한자에서 부수 획수를 뺀 나머지 획수입니다.
|
[▲]표시 한자는
2000년 조정된 신 교육용 한자에서 추가된 한자임
[▽]표시 한자는 2000년 조정된 신
교육용 한자에서 제외된 한자임 |
|
|
20. "말 무" [
총 부수 214개 중 80번
/ 4획 부수 34개 중 20번째
]
|
|
|
|
4-20,[80]  (무)
말라
|

|
또는 
|
 {指事字} '毋'의 중간 '|'을 뺀 글자가 바로 '女(녀)'이기에 정숙하고 얌전한 사람인 여자가 부정이나 잘못을 하지 못하게 '안 된다', '금지하다'는 의미의 획을 그어 '하지 말라'는 '毋'가 된 것으로 설명함. {象形字} 본래 '母(모)'와 같이 사용하다가 소전(小篆) 이후 별도로 분리되어 '하지 말라', '없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글자임.
▶ 부수로 의미가 활용되는 예는 거의 없고, 부수 설정시에 자형 분류에 따라 설정되어 결정된 정도임.
▶ [주의 구별부수] '田(전: 밭)'은 자체부수임. '貫(관: 꿰다)'은 '貝(패)'부수 / '梅(매: 매화)'는 '木(목)'부수 / '海(해: 바다)'는 '水(수)'부수
|
-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중 3자 1) 母 (모) 어머니 : 父母(부모), 賢母良妻(현모양처), 母國(모국) 3) 每 (매) 매양 : 每番(매번), 每年(매년), 每回(매회), 每事(매사) 4) 毒 (독) 독,해치다 : 毒劇物(독극물), 酷毒(혹독), 毒舌(독설)
|
|
|
|
|
|
|
|
|
|
|
|
|
[통계-
4획
부수 총 34자 (기초한자
: 478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