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 위의 숫자는 <
부수
획수 - 순번,[전체 부수 순번] >입니다.
각 기초한자 앞의 숫자 '1)'는 한자에서 부수 획수를 뺀 나머지 획수입니다.
|
[▲]표시 한자는
2000년 조정된 신 교육용 한자에서 추가된 한자임
[▽]표시 한자는 2000년 조정된 신
교육용 한자에서 제외된 한자임 |
|
|
68. "말 두" [
총 부수 214개 중 68번
/ 4획 부수 34개 중 8번째
]
|
|
|
|
4-8,[68]  (두)
말
|

|

|
 {象形字} 액체나 곡물의 용량을 재거나 퍼낼 때 쓰는 도구인 '국자' 모양으로, 아래쪽의 긴 자루와 위쪽의 열 되가 들어가는 '말'의 그릇모양을 본뜬 글자임. 또 그 모양이 북두칠성(北斗七星)을 닮아 대표성을 지닌 북두성의 '별이름'으로 사용됨. 10升(승: 되)에 해당하는 단위[말]로 '斗'가 쓰임 ▷ 갑골문부터 소전체까지는 모두 글자에 자루가 표시되어 있는데, 한나라 때의 예서체에 와서 자루 모양이 생략되어 현재의 '斗' 모양이 됨.
▶ 부수의 활용은 주로 양을 '재다, '따르다', '국자' 등으로 활용되고, 혹 (두) 등의 발음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음.
▶[주의
구별부수]
'枓(두: 구기)'는 '木(목)'부수
|
-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중 3자 0) 斗 (두) 말 : 泰山北斗(태산북두), 斗量(두량), 斗落(두락) 6) 料 (료) 헤아리다,대금 : 料理(요리), 材料(재료), 料金(요금) 7) 斜 (사) 비끼다 : 斜視(사시), 傾斜(경사), 斜線(사선),
|
|
|
|
|
|
|
|
|
|
|
|
|
[통계-
4획
부수 총 34자 (기초한자
: 478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