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形聲字} 아래 부분 손[又(우)]으로 가볍게 두드리듯 '때리다'는 의미이고, 윗부분 '卜(복: 점)'은 발음으로 사용된 형성자임. {會意字} 혹은 손[又(우)]과 위의 나무가지[卜(복)]가 결합하여 '치거나 때리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때는 회의자로 설명하기도 함.
▶ 부수의 활용도 손으로 막대기를 들고 '치다', '때리다' 등이나 '억지로하다'는 의미로 활용됨. ▷ 부수 명칭은 '文(문: 글월)'과
유사하다 해서 '등글월문'이라 하지만, 역시 부절절한 표현으로 '칠복방'으로 쓰여야 함.
▶[주의
구별부수]
'支(지: 지탱하다)'와 '文(문: 글월)'은 자체부수임. '牧(목: 기르다)'은 '牛(우)'부수 / '致(치: 보내다)'는 '至(지)'부수 / '赦(사: 용서하다)'는 '赤(적)'부수
|
-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중 19자 2) 收 (수) 거두다 : 收入(수입), 減收(감수), 收拾(수습), 沒收(몰수) 3) 改 (개) 고치다 : 改過遷善(개과천선), 改革(개혁), 改正(개정) 3) 攻 (공) 치다 : 難攻不落(난공불락), 攻勢(공세), 攻駁(공박) 4) 放 (방) 놓다 : 放學(방학), 釋放(석방), 凍足放尿(동족방뇨) 5) 政 (정) 정사 : 國政(국정), 王道政治(왕도정치), 善政(선정) 5) 故 (고) 일,예 : 故事(고사), 無故(무고), 溫故知新(온고지신) 6) 效 (효) 본받다: 效果(효과), 時效(시효), 效力(효력), 實效(실효) 7) 敍 (서) 차례 : 敍述(서술), 敍事(서사) 追敍(추서) 敍情(서정) 7) 敏 (민) 민첩하다 : 敏感(민감), 敏捷(민첩), 銳敏(예민) 7) 救 (구) 구원하다 : 救濟(구제), 救援(구원), 救國干城(구국간성) 7) 敎 (교) 가르치다 : 敎師(교사), 敎唆(교사), 反面敎師(반면교사) 7) 敗 (패) 패하다 : 勝敗(승패), 敗亡(패망), 敗家亡身(패가망신) 8) 敢 (감) 감히 : 果敢(과감), 勇敢(용감), 敢行(감행), 焉敢(언감) 8) 散 (산) 흩어지다 : 散文(산문), 解散(해산), 風飛雹散(풍비박산) 8) 敦 (돈) 도탑다 : 敦篤(돈독), 敦厚(돈후), 溫柔敦厚(온유돈후) 9) 敬 (경) 공경하다 : 敬而遠之(경이원지), 恭敬(공경), 敬語(경어) 11) 敵 (적) 원수 : 衆寡不敵(중과부적), 强敵(강적), 敵對(적대) 11) 數 (수) 수 : 數量(수량) /(삭) 자주 : 頻數(빈삭) / (촉) 빽빽하다 12)
整 (정) 가지런하다 : 整然(정연), 整列(정례), 調整(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