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 위의 숫자는 <
부수
획수 - 순번,[전체 부수 순번] >입니다.
각 기초한자 앞의 숫자 '1)'는 한자에서 부수 획수를 뺀 나머지 획수입니다.
|
[▲]표시 한자는
2000년 조정된 신 교육용 한자에서 추가된 한자임
[▽]표시 한자는 2000년 조정된 신
교육용 한자에서 제외된 한자임 |
|
|
63. "지게문 호" [
총 부수 214개 중 63번
/ 4획 부수 34개 중 3번째
]
|
|
|
|
4-3,[63]  (호)
지게문
|

|

|
 {象形字} 여닫는 외짝 문{지게문}을 본뜬 글자로 보거나, 문짝의 한쪽 부분을 본뜬 글자로 설명해 '출입문'이나 '가옥' 등의 의미로 쓰임.
▶ 부수의 활용도 주로 '문', '집'이나 그에 부속된 것들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 한짝 문은 '戶'이고, 두 짝 문은 '門(문)'인데, 보통 당(堂)이나 실(室)에 있는 문은 '戶'이고, 집의 바깥쪽에 있는 문은 '門'이다. ▶ 雇(고: 품팔다)의 경우는 '戶'가 발음으로 사용되어 형성자를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음. ▷ '肩(견: 어깨)'의 '戶' 모양은 지게문과는 상관없는 '肉(육: 고기)'의 변형 모양임에 유의.
▶[주의
구별부수]
'尸(시: 주검)'는 자체부수 '肩(견: 어깨)'는 '肉(육)'부수 / '尺(척: 자)'은 '尸(시)'부수 / '居(거: 살다)'는 '尸(시)'부수
|
-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중 3자 0) 戶 (호) 집 :
戶主(호주), 戶籍(호적), 家家戶戶(가가호호) 4) 房 (방) 방 :
閨房(규방), 茶房(다방), 借廳入房(차청입방) 4) 所 (소) 바 :
所謂(소위), 所聞(소문), 無所不爲(무소불위)
|
|
|
|
|
|
|
|
|
|
|
|
|
[통계-
4획
부수 총 34자 (기초한자
: 478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