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 위의 숫자는 <
부수
획수 - 순번,[전체 부수 순번] >입니다.
각 기초한자 앞의 숫자 '1)'는 한자에서 부수 획수를 뺀 나머지 획수입니다.
|
|
|
49. "몸 기" [
총 부수 214개 중 49번
/ 3획 부수 31개 중 20번째
]
|
|
|
|
3-20,[49]  (기) 몸 |

|
 {指事字} 본래 만물이 자신의 모습을 굽혀서 숨기고 있는 모양을 본뜬 의미로 '속 깊은 곳'이라는 개념을
도출했고, 더 발전시켜 밖의 남에 대비하여 안의 '자신', '자기'의 의미로 확대됨. {象形字} 매듭이 있는 새끼줄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어, '자기'나 '여섯번째 천간'의
의미는 가차(假借)된 것으로 봄.
▶ 부수의 활용은 실제 일정한 의미가 없이 자형(字形) 분류를 위한 부수로만 설정됨. ▷ 왼쪽 위가 모두 막혀 있으면 '巳(사: 뱀, 여섯째지지)'이고, 반만 터저있으면 '已(이: 그치다,이미)'가 된다.
▶[주의
구별부수]
‘卩(절: 병부)’은 자체부수 卷(권: 책)은 卩(절)부수 / 厄(액: 액)은 厂(한:언덕)부수 / 危(위: 위태롭다)는 卩(절)부수'
|
-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중 4자 0) 己 (기) 몸 : 克己復禮(극기복례), 知己(지기),
修己治人(수기치인) 0) 已 (이) 이미,그치다 : 已往之事(이왕지사),
已發之矢(이발지시) 0) 巳 (사) 여섯째지지 : 乙巳勒約(을사륵약),
己巳換局(기사환국) 6) 巷 (항) 거리 : 街談巷說(가담항설), 閭巷間(여항간) |
|
|
|
|
|
|
|
|
|
|
|
|
[통계-
3획
부수 총 31자 (기초한자
: 324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