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ite Map | 수상/선정 | 운영자 소개

 

한자한문 이야기

 home > 한자한문 이야기 > 고사이야기 > 고사- 동가식서가숙 >>

 

 

  고사 이야기 - 대문

전체 고사 색인

 

  고사성어의 이해

  기초 한자성어 모음

 

 

 

 

 

img1.gif  '큰 재력을 자랑하는 총각 A씨는 아쉽게도 외모가 다소 미흡하고, 반면 외모가 출중한 B씨는 빈한(貧寒)한 집안사람입니다.  이 두 사람의 구혼에 대해 마음의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갈등하는 여인은 ...'

   통속적(通俗的)인 드라마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스토리이지만, 이는 예로부터 심성의 수양이나 세파(世波)에 대한 사람의 속성과 관련하여 화두(話頭)로 등장하곤 했습니다. 몰론 사람에 대한 판단이 재력(財力)만으로 좌우되는 것은 아니지만, 오로지 자기 잇속만을 위한 후안무치(厚顔無恥)격의 행위는 지탄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합니다. 흔히 선거철만 되면 이당 저당을 기웃거리는 철새 정치인들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자기 잇속을 위해서 간 쓸개까지도 내놓는 주변의 저속한 행위들은 천박한 사회의식이 만연되는 심각한 폐해를 얻게 될 것입니다. 더욱이 사회의 여론 주도층에 속한 부류들 속에서 벌어지는 이와 같은 행태는 지탄을 넘어 사회적 구속력이 작용될 수 있는 조치가 뒤따라야 할 것입니다.

  하나의 척도가 가치 규범(規範)으로 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바르고 건강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합니다. 재력(財力)이면 모든 것이 해결될 수 있다는 왜곡(歪曲)된 인식이 정당한 가치인 양 사회적 주류로 흐르는 것만은 막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같은 왜곡된 세파(世波)에 대한 인식을 꼬집는 대표적인 고사가 바로 ‘東家食西家宿(동가식서가숙)’입니다.

   ‘東家食西家宿’ 고사는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잔다.’는 뜻인데, 본래 고사는 ‘욕심이 지나친 탐욕스러운 사람’의 의미로 표현된 것이지만, 현대에서는 보통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여기저기를 떠돌아다니면서 얻어먹고 사는 경우나 혹은 주소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을 비유해서 활용되어 ‘바람을 맞으며 밥을 먹고 이슬을 맞으며 잠을 잔다’는 ‘風餐露宿(풍찬노숙)’과 유사한 의미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사의 유래로 접근해서 보면 자기 정체성을 버리고 이익을 위해 휩쓸리는 저속한 인간의 속성을 비판하는 속뜻이 본래 고사가 주장하는 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당(唐)나라 고종(高宗)의 명으로 구양순(歐陽詢)이 저술한 일종의 백과사전식 저서인 《예문유취(藝文類聚)》에 출전을 두고 있는데, 송(宋)나라때 이방이라는 사람이 지은 역시 일종의 백과사전류의 서적인《천평어람(天平御覽)》에도 실려있는 고사의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옛날 제나라에 한 처녀가 있었다. 그녀에게 두 집안에서 함께 청혼이 들어왔다. 그런데 동쪽 집 총각은 못 생겼으나 부자였고, 서쪽 집 총각은 인물이 출중했지만 가난했다. 난처해져 결정을 못한 처녀의 부모는 딸에게 의중을 물어 시집갈 곳을 정하려 하였다.
 “지적해서 말하기가 어렵거든, 좌우 중 한쪽 어깨를 벗어서 우리가 알게 하거라..”
  그러자 딸은 문득 양쪽 어깨를 모두 벗어 버리고는 놀라서 그 까닭을 묻는 부모에게 이렇게 말했다.
  “낮엔 동쪽 집에 가서 먹고, 밤엔 서쪽 집에 가서 자려고 해요."

  ▣[원문]
  齊
人有女. 二人求見, 東家子醜而富, 西家子好而貧. 父母疑而不能決, 問其女, 定所欲適, "難指斥言者, 偏袒, 令我知之." 女便兩袒1). 怪問其故, 云 "欲東家食西家宿."
<藝文類聚>

주1) 偏袒(편단): 한쪽 어깨를 벗다. 불가의 법의를 우견편단(右肩偏袒)하거나, 상례(喪禮)에서 상주가 偏袒하는 사례가 있음.

  강한 도덕적 가치가 사회 전반의 튼튼한 보루(堡壘) 역할을 할 수 있을 때, 건강한 사회적 풍토도 축적될 수 있습니다. 사회 지도층 인사들의 도덕적 신뢰가 무너지고 있는 작금의 현실에서 그나마 그간 우리 사회가 이루어 놓은 바른 의식과 민주적 가치의 잠식을 더 이상 무관심의 대상이나 타인의 일로 치부할 수 없는 소명의식이야 말로 우리 시대의 중심 화두로 지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한자(漢字)의 활용(活用)

한자

독음

한 자 어(漢字語) 예 시(例示)

(동)

1.동녘: 東方(동방), 東問西答(동문서답), 極東(극동), 東宮(동궁)

(가)

1.집: 家屋(가옥) 2.집안: 家口(가구) 3.가문: 一家(일가) 4.전문가

(식)

1.먹다: 食慾(식욕) 2.밥: 食料(식료) 3.헛말: 食言(식언)

西

(서)

1.서녘: 西風(서풍), 2.서양: 西洋(서양), 西歐(서구)

宿

(숙)

1.자다: 宿食(숙식), 下宿(하숙)  2.오래다: 宿命(숙명), 宿患(숙환)

 

 

 

 

 


 

 

 

 

오형민의 이야기 한자여행입니다.

Copyright ⓒ since 1998 Oh HyungMin. All Rights Reserved.
webmaster@hanja.pe.kr